강연자: AI Native 전략팀 황민호 리더님
장소: 판교 PDC센터 9층 구름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요즘 회사 일에 적응한다고 회사 컨플루언스에 글을 많이 써서 개인 블로그 쓸 힘이 많이 없네요..
OSSCA도 다시 시작하고 쿠버네티스 공부도 따로 하고있고 정신이 없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조금 여유가 생겨 세미나를 다니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구름 Commit] 옆자리에 AI 동료가 생겼습니다”라는 세미나를 다녀왔는데요.
모든 내용을 정리하는건 구름 Commit의 정책 상 되는지 모르겠어서 올리지 않겠지만 황민호님의 AI 실활용 사례가 너무 좋은 것 같아서 해당 내용은 꼭 공유하고 싶어서 가지고 와봤습니다!!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황민호 리더님의 실활용 사례
1. GenSpark 가이드
https://revfactory.github.io/genspark-tip/
기술문서와 AI를 통해 2시간 만에 GenSpark를 가이드하는 사이트 자동 생성
기술 스택: HTML5, CSS3, Vanilla JS, 로컬 스토리지
2. Vive Coding 가이드
https://github.com/revfactory/claude-code-guide
기술문서와 AI를 통해 사이트 제작
클로드 같은 경우 깃허브 액션과 연동이 가능
해당 프로젝트는 클로드와 깃허브 액션을 연동하여 이슈와 커밋 자동화
프로젝트의 이슈를 올리고 클로드를 태그하면 해당 이슈에 대한 개발을 클로드 코드가 함
PR을 올리면 코드 리뷰까지 클로드가 해줌
PR을 올리는 것은 보안 정책때문에 안된다고 함
한계 : 코드 리뷰하는 AI는 디프된 코드만 리뷰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코드를 이해하고 개발하는 개발 AI에 비해 이해도가 떨어져서 실수 발생
3. 테트리스 게임
https://github.com/revfactory/tetris-game
프롬프트를 한 번만 넣어서 클로드가 테트리스 게임을 개발
4. 프레젠테이션 작성 (진짜 이거는 꼭 사이트 들어가서 보는거 추천)
https://revfactory.github.io/ainative-slide/
클로드 코드를 통해 프레젠테이션 사이트 제작
일레븐 랩스에서 음성을 만들어서 사용
강연할 때 쓸 피피티를 만들었어야 했는데 AI를 활용하여 사이트를 만들었고 각 슬라이드마다 AI음성을 넣어서 발표
총 35개의 상세 슬라이드로 만들었으며 15분만에 음성 데크를 제작
5. Jira 이슈 기반 Vibe Coding (이건 홈페이지를 못 적었음;; )
Jira MCP를 연동하여 Jira 이슈를 기반으로 AI 검색 필터 기능 개발
커밋-푸시까지 AI로 해결
(AI로 커밋을 한다면 AI가 커밋 메시지를 자세히 작성해주기 때문에 인간이 직접 작성하는 것보다 이점이 많다고 생각함)
6. 카카오 사내 AI Beer Chat Day 이벤트 페이지 제작
https://chatgpr-agit.github.io/abcd
클로드 코드로 사이트 제작, 레트로 테마를 적용하고 얼리버드 티켓 시스템도 제작
GPT로 명찰도 제작하고 베오3로 AI 홍보 영상도 제작하고 유튜브에 게시
AI에게 URL을 주고 적절한 위치에 추가해달라하거나 컨트롤러, 마우스 효과 등도 추가
7. 카카오 사내 10K 해커톤 AI 심사 시스템 구축
카카오 내부에서 10시간 동안 하는 해커톤을 열었는데 이 해커톤의 AI 심사시스템 구축
기존 1박2일로 하던 해커톤을 10시간으로 줄이고 AI 활용을 지원
기존 해커톤보다 퀄리티가 훨씬 좋았음
비개발자로만 구성된 팀이 나왔는데 자신들의 요구사항을 AI가 제작해주니 아이디어와 결과물이 좋았음
개발자로만 구성된 팀도 나왔는데 기존에 개발자로만 구성된 팀들은 디자인이 안 좋았었는데 이번에는 엄청 좋았음
v0에 프롬프트를 넣어 페이지를 제작했고 스펙 기반의 개발을 함
다 만들고 나서 git history를 기반으로 심사 시스템 제작 소요시간을 추정해봤을 때 48시간 정도 소요되었음
후기
해당 커밋을 들으면서 이제는 개발자와 기획자 등 관련 직업군의 경계가 점점 희미해지는 것 같습니다.
특히 클로드 코드와 같은 AI Agent가 더 발전되면 이런 AI 툴들의 활용 능력이 더더욱 중요해질 것 같습니다.
저도 점점 코드를 개발하는 개발자의 마인드보다는 문제를 해결하는 해결사의 마인드를 장착해야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